
광릉숲에서 만난 생태계 지표종, 아기 ‘담비’ 형제 첫 포착
임영석 국립수목원장, “광릉숲은 생물다양성 보전의 거점, 생태계의 교과서 같은 공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7-31 15:11 댓글 0본문
사진) '담비' 가족
혹시 '담비'를 아시나요(?)..
머리는 까만색, 몸은 노란색의 보송보송한 털을 갖는 귀여운 동물이다.
최근 광릉숲 내 야생동물 무인센서카메라를 통해 아기 담비 두 마리가 어미로 보이는 담비와 함께 활동하는 모습이 포착됐다.
담비는 우리나라 산림생태계의 건강성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포식동물이다.
이번 관찰은 광릉숲의 생태적 가치를 다시 한 번 입증하는 중요한 사례다.
31일 수목원에 따르면, 이번에 촬영된 영상에는 크기가 조금 다른 두 마리의 새끼 담비가 어미의 뒤를 따라다니는 장면이 담겼다.
이들은 올봄에 태어난 개체로 생후 약 100일가량 지난 것으로 추정된다.
일반적으로 담비는 4월 말에서 5월 초 사이에 새끼를 낳고, 생후 4~5개월이면 어미와 육안으로 구별이 어려울 만큼 성장한다.
새끼들은 어미와 함께 겨울을 나며 사냥과 생존 기술을 배우고, 이듬해 봄이면 각자의 영역을 찾아 분산한다.
담비는 현재 멸종위기 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법적 보호를 받고 있는 종이다.
흔히 '한반도 산림생태계의 우산종'으로 불린다.
우산종은 해당 생물의 보호가 그 서식지에 함께 사는 다양한 생물 종의 보전으로 이어지는 종을 의미한다.
담비가 안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은 다양한 생물들이 공존할 수 있는 건강한 생태계를 뜻한다.
이는 곧 광릉숲의 생물다양성이 풍부하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동안 광릉숲과 인근에 서식하는 담비는 수컷 2마리 였다.
그리고 이번에 새끼를 낳은 암컷 무리 외에도 주변 산림에 3~5개 무리를 합해서 약 6에서 10마리의 담비가 더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국내 다른 지역에 비해 유사면적 대비 매우 높은 밀도의 담비가 서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무엇보다 이들에게는 광릉숲이 우수한 서식 환경이다.
한국야생동물생태연구소 이상규 소장은 “이번 영상은 담비가 새끼를 데리고 둥지를 옮기는 과정에서 촬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두 새끼의 크기 차이는 자연스러운 개체 간 성장 차이 또는 암수 차이일 수 있다”고 했다.
앞으로 “광릉숲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담비 생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도 했다.
임영석 국립수목원장도 “광릉숲은 생물다양성 보전의 거점이자 살아 있는 생태계의 교과서 같은 공간”이라고 했다.
이어 “이번 담비 가족의 포착은 국립수목원이 그동안 추진해 온 보전 활동의 결과”라고 흡족해 했다.
한편 산림청 국립수목원은 그동안 경기북부야생동물구조센터, 지역 자치단체와 협력해 광릉숲 내 불법 수렵 도구 제거와 서식지 복원, 지역 주민 대상 홍보 활동 등을 꾸준히 해 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