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한 폭염, 경기도 긴급 대책 발표.. 취약계층 대상
김성중 행정1부지사, “도민의 생명ㆍ일상 지키는데 최선 다하겠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7-11 13:33본문
118년 만에 수도권을 덮친 극한 폭염에 전 국민들이 힘들어하고 있다.
이에 경기도가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책을 11일 오전 긴급 기자회견에서 발표했다.
도는 지금 상황을 도민들의 일상생활을 위협하는 ‘재난’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날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가 발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경기도와 GH 관리 공사 현장 ‘폭염 안전 대책’ 긴급 시행
대상은 모두 72개 현장이다.
체감온도 35℃ 이상 인 경우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작업을 전면 중지하고, 33℃ 이상일 때에는 매 2시간 이내 20분 이상 휴식을 의무화 한다는 내용이다.
도는 도내 시ㆍ군이 관리하는 약 3천여 개의 공사 현장과 민간 건설 현장 약 4천여 곳에도 이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해당 시ㆍ군과 대한건설협회 경기도회, 대한전문건설협회 경기도회 등 유관기관에 공사중지 권고 등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다.
- 취약 계층에게 냉방비 200억 원, 무더위 쉼터에 15억 원 지원
도내 기초생활 수급가구와 차상위 계층 약 39만 가구가 수혜 대상이다.
이들 가구에는 5만 원씩 냉방비를 지급한다.
또 경로당, 마을복지회관 등 8800여 개 무더위 쉼터에도 15억을 긴급 지원한다.
도는 현재 긴급 지원을 위한 행정 절차를 진행 중이다.
앞으로 시ㆍ군과 협력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신속 지급할 계획이다.
- 옥외노동자나 논밭노동자 등에게 ‘보냉장구’ 지원
휴게시설이 없는 소규모 건설현장 노동자와 야외 논밭에서 일하는 농업인들이 대상이다.
이들에게는 얼음조끼나 쿨토시 등을 지급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서 민간 자율방재단 9천여 명과 의용소방대 1만1천여 명이 동원된다.
이들은 현장을 방문해 각종 물품을 지원하고 각종 점검도 한다.
- 이주 건설 노동자도 내국인과 동등하게 안전 조치
도는 언어가 다르고 출신국이 달라도 생명과 안전의 기준은 같아야 된다는 원칙이 있다.
무엇보다 이주 노동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노동자는 현재 2천9백여 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여기에는 ‘노동안전지킴이’를 충분히 활용할 예정이다.
다국어로 제작된 ‘온열질환 예방가이드’를 공사 현장에 배포해 스스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공사현장 냉방시설과 휴게시설 적정 설치 여부도 같이 점검한다.
한편 경기도는 현재 31개 시ㆍ군과 함께 ‘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하고 있다.
김성중 경기도 행정1부지사는 이와 관련 “이번 긴급폭염 대책을 차질 없이 시행해 도민의 생명과 일상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어 “폭염 발생 시 낮 시간 야외활동을 자제하고, 주변의 어르신이나 취약한 이웃들을 한 번 더 살펴봐 줄 것”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