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경제 전환ㆍ금융사기 피해 막기 위한 경제교육 필요”.. 경기도민 10명 중 9명 응답
경기연구원,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 발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4-23 13:00본문
디지털 경제로의 전환과 금융사기 증가 등 급변하는 경제 환경 속에서, 금융 안정성을 확보하고 스스로를 보호하는 경제교육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경기도가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경제교육 기본계획을 수립 중인 가운데, 경기연구원이 ‘경기도 경제교육 활성화 방안’ 보고서를 발간했다.
22일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이번 보고서는 연구원이 2024년 경기도민의 경제교육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경기도민 만 18~69세 101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다.
여기에서 응답자 91.3%가 ‘경제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해 높은 사회적 공감대를 보였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이유는 ▲실생활에서 중요한 경제적 의사결정 (주택매매, 대출 등) 때문(71.5%) ▲개인의 경제적 안정과 발전을 위해(67.9%) ▲경제 여건과 상황이 계속 변화하고 있어서(61.3%) 순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제 및 금융 피해 예방을 위해(52.1%)도 주요한 이유로 꼽혔다.
경제지식 습득 경로는 ▲인터넷 포털사이트 등 온라인 매체(57.4%) ▲TV, 라디오 등 방송매체(53.0%) ▲유튜브, 누리소통망(SNS) 등 소셜미디어(48.7%) 순으로 디지털 채널을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 필요한 시기로는 ▲사회초년생 시기(77.0%) ▲청소년기(중ㆍ고등학생)(70.8%) ▲대학생 시기(52.9%)의 분포를 보였다.
경제적 독립을 준비하는 생애 초기에 실질적인 경제교육이 집중적으로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의미가 있다.
경제교육이 가장 필요한 계층은 ▲저소득층(82.6%) ▲한부모가정(56.9%) ▲소상공인(51.9%) ▲다문화가정(38.6%) 순으로 경제적 피해에 쉽게 노출될 수 있는 계층에 집중됐다.
실제로 전세사기나 금융사기, 불법사금융 피해 이후 경제교육의 필요성을 느꼈다고 답한 비율이 83.0%에 달했다.
하지만 이들의 교육 이수 경험은 32.1%에 그치는 상황이어서 경제 교육의 참여 기회와 정보 제공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또 교육 기관의 목표는 응답자의 41.7%가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경제 지식 함양’을 꼽았다.
보고서는 이번 결과에서 ▲실생활 밀착형 경제교육 ▲평등한 교육 기회 제공 ▲체계적인 경제교육 등을 경기도 경제교육의 전략으로 삼을 것을 제안했다.
자세히는 실생활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 내용을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경제교육을 구성하고, 온라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인공지능(AI)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 하자는 것이다.
또 경제교육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교육 자료를 표준화하며 효과성 평가를 체계적으로 도입하는 등 교육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체계 마련도 중요하다고 했다.
특히 취약계층은 경제적 피해에 상대적으로 쉽게 노출되는 만큼 경제교육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에 방점을 찍었다.
한미진 연구위원은 이와 관련 “경기도에서 모든 경제교육을 직접 수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경기지역경제교육센터 등 외부기관과의 협력을 강화해 보다 효율적인 경제교육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