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폐이식’ 수술 가장 많이 한 병원은(?)..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폐이식팀, 지난 달 11일 600번째 환자 ‘폐이식’ 성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유광식 기자 작성일 25-09-05 11:52본문
사진) 왼쪽부터 호흡기내과 박무석(주치의), 흉부외과 양영호(집도의)ㆍ이진구(폐이식팀장) 교수
우리나라에서 ‘폐이식’ 수술을 가장 많이 한 병원은(?)..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폐이식팀은 최근에도 폐이식 수술을 진행했다.
이번이 600번째, 국내 최초 기록이다.
지난 2023년 5월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폐이식 500례를 진행한 데 이은 약 2년 3개월 만의 성과다.
5일 병원 측에 따르면, 이번 수혜자는 특발성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Idiopathic NSIP)으로 진단받은 61세 남성 환자 A씨였다.
이 병은 원인을 알 수 없이 폐가 딱딱해져서 숨이 차는 질환이다.
폐 질환으로 흔히 알려진 세균 감염에 의한 감염성 폐렴과는 다르다.
A씨는 수년간 산소치료에 의존해 왔으나 점차 호흡곤란이 심해졌고, 약물치료에도 호전되지 않았다.
결국 중환자실에 입원해 체외막산소공급(ECMO, 에크모)에 의존해야 했다.
에크모는 스스로 산소 공급과 이산화탄소 배출을 할 수 없는 환자를 돕는 생명 유지 장치다.
이것을 시작한다는 것은 폐이식 대기 환자 중 긴급도가 가장 높은 단계인 ‘응급도 0’을 의미한다.
그래서 뇌사자 기증 폐를 이식하기로 했다.
병원은 지난 달 11일 수술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7시간 넘게 걸린 고난도 수술이었다.
A씨는 이틀 후 에크모를 제거했다.
이후 혈액가스 수치(ABGA)와 산소포화도(SpO₂)도 빠르게 안정됐다.
기계에 의존했던 환자가 뇌와 간 등 온몸의 장기에 산소가 충분히 공급될 만큼 스스로 호흡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에크모를 제거한 A씨는 의식을 회복했고, 수술 열흘 후 중환자실에서 일반병실로 옮겨 현재 재활 치료를 이어가고 있다.
이 병원은 1996년 국내 최초로 폐이식을 성공한 이후 현재까지 국내 최다 수술 건수를 기록하고 있다.
또한 연간 수술 건수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며 명실상부한 국내 폐이식의 중심 기관으로 자리매김했다.
한편 이 병원 폐이식팀은 다학제적 협진 시스템을 운영한다.
흉부외과ㆍ호흡기내과ㆍ감염내과ㆍ재활의학과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 의료진이 동시에 참여해 수술 전후 환자를 밀착 관리한다.
이식 수술뿐 아니라 감염 예방이나 재활치료, 장기 추적관리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체계적 진료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이진구 세브란스병원 폐이식팀장은 이와 관련 “이번 600례 달성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환자와 가족의 간절한 기다림, 그리고 의료진의 헌신이 모여 이룬 결실”이라고 뿌듯해 했다.
이어 “앞으로도 더 많은 환자들이 건강한 호흡을 되찾고 새로운 삶을 시작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광식 기자
- 이전글버려진 집이 주민 쉼터ㆍ명소로.. 접경지역의 새로운 변화 25.09.05
- 다음글국립수목원 선정 9월 ‘우리의 정원식물’은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 25.09.04